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컴퓨터그래픽스
- cs
- SwiftUI
- 멋쟁이사자처럼
- 리액트
- TCA
- 스유
- 영남대
- 웹
- widget
- 백준
- 운영체제
- swift concurrency
- 1일1알골
- Protocol
- spritekit
- 위젯킷
- 알고리즘
- composable architecture
- Swift
- uikit
- 대외활동
- c++
- 후기
- 네트워크
- 문법
- 멋사
- dispatchqueue
- 스위프트
- widgetkit
- Today
- Total
목록불변성 (2)
맛동산이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을 참고하여 기술하였습니다.리액트의 불변성이란?리액트는 불변성을 지켜야 한다.그렇다면 이 불변성이란 무슨뜻일까?우선 불변성의 사전적 정의는 변하지 않는 성질이다. 불변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참조형광 원시형에 대하여 이해를 해야한다.참조형과 원시형원시형 call by value원시형의 데이터 타입은 boolean, string, number, null 등이 있다.원시형은 직접적으로 메모리에 값이 입력되는것을 의미한다. 참조형 call by reference참조형은 배열과 객체 같은 데이터 타입이 존재한다.참조형의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메모리 값이 올라가는것이 아닌 메모리에 참조되는 주소가 입력이 된다. 그렇다면 다시 돌아와서 불변성이란 결국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바로 데이터가 메모리상에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을 참고하여 기술하였습니다.개발을 하다보면 반복되는 코드를 작성할때가 존재한다.리액트에서는 for 반복문을 사용할수가 없기때문에 map() 함수를 사용해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된다.자바스크립트 배열의 map()함수맵함수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배열.map(function(a){ return '12345'})위와같이 입력하면 배열의 개수만큼 반복한다.a라는 파라미터는 배열에 있는 자료를 앞에서 부터 하나씩 가져온다.return문 안에 있는 것은 배열 a자료 a대신 array에 넣어줄 값을 반환해준다. map의 반환값은 배열이다. 컴포넌트를 다시 쓰고 싶을때{ 배열.map(function(){ return()}); }이렇게 하면 계속해서 배열의 개수만큼 컴포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