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앞에서도 설명했듯이 패킷은 여러개의 헤더가 존재하지만 IP헤더와 MAC헤더가 존재하고 결국 최종 목적지인 IP헤더의 값은 변경되지 않은 채, 허브 → 허브 → 라우터 를 거치면서 MAC헤더가 변경되게 된다.
즉 중계장치는 데이터 부분을 보지 않고 패킷을 중계하게 된다.
LAN 이란
LAN(근거리 통신망)은 광대역 통신망과는 달리 학교, 회사, 연구소 등 한 건물이나 일정 지역 내에서 컴퓨터나 단말기들을 고속 전송 회선으로 연결하여 프로그램 파일 또는 주변장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네트워크 형태입니다.
- 3장에서는 클라이언트 PC가 LAN에 접속되어있다고 가정한다.
- 즉 클라이언트 PC가 송신한 패킷은 리피터허브 → 스위칭 허브 → 라우터 → 인터넷용 라우터 → 인터넷
을 거쳐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전달된다고 가정한다.
전기 신호는 변경된다.
클라이언트 PC에서 생성한 패킷은 LAN어댑터의 PHY(MAU) 회로에서 전기신호로 변경된다.
변경된 전기신호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로 들어간다.
하지만 당연하게도 저항에 의해서 케이블 길이가 길어질수록 신호의 세기는 약해진다.
또한 잡음의 영향과 신호의 파형 또한 신호가 진행됨에 따라 변경이 된다.
이렇게 약해지고 변형된 신호는 통신오류의 원인이 된다.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위에서 설명한 잡음은 케이블 주위의 전자파에 의해서 야기된다.
이러한 잡음의 종류는 두가지가 존재한다.
- 전자기기에서 누설되는 전자파
- 케이블안에서 인접한 신호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전자기기에서 누설되는 전자파
- 선을 꼬는것으로 해결된다.
케이블안의 인접한 신호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신호선안에 신호는 전류이다.
이러한 전류가 흐르는것으로 전자파가 발생하게된다.
여러가지 신호선이 인접한 경우 이러한 전자파로 인한 잡음이 발생하고 이러한 잡음을 크로스토크라고 한다.
- 이것에 대한 대책또한 선을 꼬는 것이다.
선을 꼬는 간격을 미세하게 변경시키면 어느 부분에서는 플러스가 가까이 있고, 어느 부분에서는 마이너스가 가까이 있기 때문에 균형이 잡히면서 잡음의 영향이 줄어든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전자파를 차단하여 잡음을 최소화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리피터 허브
리피터 허브는 LAN전체에 신호를 뿌리게 된다. (브로드캐스트)
이를 통해서 수신처 MAC주소에 해당하는 기기에만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리피터 허브에는 MDI/MDI-X와 같은 전환 스위치가 존재한다.
MDI는 RJ-45회로와 직접 연결한것이며 MDI-X는 교차해서 결선한것을 의미한다.
- RJ-45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인터넷 선을 의미함
리피터 허브의 역할은 들어온 신호를 리피터 허브에 연결된 모든 기기에 송신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MAC헤더에 쓰여있는 수신처를 찾게 되는것이다.
즉 기본적으로 리피터 허브는 들어온 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Uploaded by N2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