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omposable architecture
- ReactorKit
- c++
- 스유
- 컴퓨터그래픽스
- TCA
- dispatchqueue
- 후기
- uikit
- spritekit
- 운영체제
- 대외활동
- 웹
- cs
- SwiftUI
- widgetkit
- widget
- 영남대
- Protocol
- swift concurrency
- 멋쟁이사자처럼
- 스위프트
- 멋사
- Swift
- 네트워크
- 리액트
- 문법
- 위젯킷
- 백준
-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앱/Swift (65)
맛동산이
swift를 공부하다보면 try? 라는 구문을 상당히 많이 접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겨서 찾아보게 되었다. do catch 먼저 스위프트에서는 에러처리를 do,try catch구문을 통해서 잡게 된다. do{ y = try something() } catch{} 이러한 방식으로 do 의 구문을 돌리고 에러가 발생하면 catch구문으로 넘어가게 된다. try? 이때 catch구문을 사용하지 않고, 리턴값을 에러가 발생할때 nil을 받기위한 간단한 구문이 바로 try?이다. 이때 리턴값은 optional 이기 때문에 언래핑을 해야 값을 확인할수 있게 된다. try! try!또한, catch구문을 사용하지 않고, do catch문대신 사용하는 예외처리 방법이다. 해당 try!는 nil값이 반환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2ausT/btr49Sxsg6O/gkK1KFicskKMWA8ekprVS1/img.png)
Hashable이란? 먼저 최초의 질문은 Hashable이라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한다. Hashable이란, hasher로 인하여 int값인 hash value를 가져서 hashing 될수있는 타입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Hasher는? Hasher는 구조체 이며, hash 함수이며, 주로 셋과 딕셔너리 타입에서 사용한다. 해당 메소드를 보면 다음과 같은데 .combine(H) : 주어진 값을 해셔에 추가해서 해셔에 혼합한다. .finalize() → Int : 해시를 완료하고 해시 값을 반환한다. 해시(Hash) 쉽게 말해서 딕셔너리 같은 타입이 해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Key와 Value값의 1대1 매핑을 해주게 되는 자료형이다. 그런데 이때 이 value값을 해시테이블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