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액트
- 후기
- 컴퓨터그래픽스
- ReactorKit
- widget
- uikit
- cs
- 네트워크
- 스유
- 웹
- widgetkit
- composable architecture
- dispatchqueue
- 위젯킷
- 백준
- 대외활동
- Protocol
- 멋사
- spritekit
- Swift
- 문법
- 멋쟁이사자처럼
- 영남대
- TCA
- SwiftUI
- c++
- 운영체제
- 알고리즘
- swift concurrency
- 스위프트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14)
맛동산이

본 내용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데이터의 크기타이밍데이터의 분할ACK번호SYN에서 시퀸스 초기값타임아웃윈도우 제어 방식윈도우 필드HTTP 응답 메세지를 수신connect를 통해서 데이터 송수신이 준비가 완료되면, 어플리케이션은 Soket라이브러리에서 write를 호출하여 송신데이터를 프로토콜 스택에 넘겨준다. 이때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준은 크게 몇가지가 있다데이터의 크기타이밍데이터의 크기중요한점프로토콜 스택에 넘어간 데이터를 프로토콜 스택은 인식하지못한다. 바이너리 값으로 인식함버퍼 메모리 영역에 저장함 → 이는 어플리케이션 마다 프로토콜스택에 데이터를 넘겨주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바로바로 패킷단위의 데이터를 보내면 효율이 떨어질수도 있기 때문..

본 내용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프로토콜 스택의 내부 구성리졸버TCP, UDP 프로토콜IP 프로토콜LAN드라이버소켓의 실체디스크립터프로토콜 스택의 내부 구성프로토콜 스택의 내부구조프로토콜 스택의 내부는 상하로 나뉜다. 상 : TCP, UDP하 : IP 리졸버브라우저에서는 Soket 라이브러리에 있는 부품인 리졸버를 이용해서 DNS서버에게 도메인명에 해당하는 IP 값을가져오게 된다. 해당 설명은 이전에 설명했기 때문에 생략한다. TCP, UDP 프로토콜TCP , UDP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TCP를 사용한다.짧은 제어용 데이터를 송수신 할때는 UDP를 사용한다. IP 프로토콜IP 프로토콜을 이..
본 내용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DNS서버 조회도메인 계층도메인 검색캐시DNS서버 조회DNS서버에 IP를 조회하기 위해서 우리는 리졸버를 사용했으며 리졸버는 DNS에 요청메세지를 만들게 된다. 이렇게 만든 메세지를 OS 의 프로토콜 스택에 요청하여 DNS서버로 요청을 보내게 된다. 이렇게 보낼 메세지에는 3개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름 : 서버나 메일 목적지(도메인, IP주소)클래스 : 처음에는 인터넷이외에도 다양한 네트워크가 존재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항목이 있지만, 지금은 IN이라는 클래스(인터넷)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타입 : 어떤 타입의 정보가 지원되는지 에 대한 정보타입은 데이터에서 받아오고 싶은 내용이다. 예를들어 IP라면 A타입, 메일주소..
본 내용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라우터, 허브, 서브넷DNS서버IP주소넷마스크IP주소와 도메인명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이유소켓(Socket), 리졸버(resolver)리졸버 내부의 작동지난단원의 정리브라우저는 url을 해독하여 http 메세지를 생성하고 이를 OS에게 전달해준다.OS는 해당 메세지를 서버에게 전송해준다. 서버는 메세지에 해당하는 자원의 위치에 가서 무엇을 에 해당하는 메소드를 통해서 동작을 하고리스폰드 메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리턴한다.이렇게 서버, 혹은 자원의 위치를 알려주는것을 도메인명 즉 // 뒤에오는 주소로 알수있게 되는데 그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라우터, 허브, 서브넷우선 대충이나마 해당 내용을 이해하고 넘어가야, 뒤의 내용..
본 내용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URL브라우저의 역할HTTP의 기본개념Request Message1. start line2. HTTP headers3. empty line4. bodyRespond MessageStatus lineHeadersBody상태코드( 스테이터스 코드 status code ) URLurl은 http://, ftp:// file:// 등 다양하게 시작하는 것과 같이 브라우저에서 모든 검색의 시작을 의미한다. URL은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즉, 컴퓨터 네트워크와 검색 메커니즘에서의 위치를 지정하는, 웹 리소스에 대한 참조이다.url을 통해서 우리는 네트워크 상의 자원에 엑세스를 하게 되는데 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