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동산이

네트워크) ADSL기술 본문

CS/네트워크

네트워크) ADSL기술

진ddang 2023. 7. 6. 01:10

본 내용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라우터의 중계동작은 앞에서 설명했던 라우터의 설명과 동일하다.

액세스 회선은 인터넷과 가정이나 회사의 LAN을 연결하는 통신 회선을 의미하며, 일반가정이라면 adsl이라는 회선을 대표적으로 사용하며 이를 설명한다.

adsl모델에서 패킷을 셀로 분할한다.

인터넷 접속용 라우터와 adsl모뎀이 이더넷으로 연결되어있다면, 기존의 동작과 비슷하다. 하지만 헤더가 다름

액세스 회선 사업자에 따라 변형되며,

  • BAS패킷 중계 장치에서 MAC헤더 PPPoE헤더, PPP헤더 3개의 헤더가 붙고 신호로 변환해서 송신

라우터가 송신하게 되면 이 신호가 ADSL모뎀에 도착함

모뎀은 패킷을 작게 분할하여 셀에 저장한다.

셀은 작은 디지털 데이터 덩어리로 ATM이라는 통신 기술에 사용한다.

셀로 분할하는 이유

ADSL기술개발 시작당시에는 ATM이라는 기술이 유력시 되었고 이 때문에 셀을 이용하게 되었다.

ADSL은 변조 방식으로 셀을 신호화 한다.

패킷을 분할하여 셀에 저장한 다음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ADSL은 기존의 LAN과 다른, 사각형의 파형이 아닌 좀더 복잡한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유

  1. 거리가 먼 경우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1. 잡음의 제어가 힘들어진다.
  1. 사각형 신호는 파형이 뭉게지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완만한 파형을 0과 1에 대응한 형태로 만드는 변조방식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BAS 는 ATM 셀을 패킷으로 복원하여 인터넷의 내부에 중계하게 된다.


Uploaded by N2T

반응형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PPP와 터널링  (0) 2023.07.06
네트워크) 라우터의 부가기능  (0) 2023.07.06
네트워크) 라우터  (0) 2023.07.06
네트워크) 스위칭 허브  (0) 2023.07.06
네트워크) 케이블과 리피터허브  (0) 2023.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