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동산이

멋쟁이사자처럼) Sprint란? 본문

대외활동/멋쟁이 사자처럼

멋쟁이사자처럼) Sprint란?

진ddang 2022. 6. 28. 00:49

오늘은 멋사 아이디어톤 2차 미팅을 했고, sprint라는 서비스 설계 방법에 대해서 배웟다.

우리가 생각한 서비스를, sprint에 맞춰서 생각해보기로 했다.

[Column] Sprint, 왜 할까?
by Column 2021-04-09 스프린트란? '짧은 거리를 전력 질주하다' 라는 뜻의 Sprint , 개발에서는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요? 스프린트는 구글 수석디자이너 제이크 냅이 고안한 기획실행법으로, 팀원들과 토론을 ...
https://cloudmt.co.kr/?p=4054

스프린트란?

구글 수석디자이너 제이크 냅이 고안한 단기간 내에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테스트하여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상품이나 서비스 혹은 조직이 당면한 문제에 대해 단기간 내에 시뮬레이션하여 시간과 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개발 방식으로 특히, 스타트업에서는 실제로 제품을 구축하고 실시하는 위험한 과정에 착수하기 전에 자신들이 제대로 가고 있는지 확인해볼 방법을 제시한다.

스프린트가 필요한 이유?

브레인스토밍을 통해서 다양한 아이디어를 쏟아내긴 하지만 실제적으로 실천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또한 해당 자리에서 쏟아지는 아이디어의 평가, 채택이 어렵기 때문에 브레인스토밍이 아닌 스프린트라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 것이다.

스프린트의 준비사항

과제 – 해결해야 할 문제 및 과제를 확인합니다.

팀 –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로 팀을 구성합니다. (4~8명)

시간 – 과제 해결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일정(Full time days)을 확보합니다. 스프린트를 진행하려면 많은 에너지와 집중이 필요합니다.

장소 – 무수한 아이디어들을 적을 수 있는 회의실을 준비합니다.

진행자 – 스프린트 절차 전체를 관리하고, 회의를 이끌고 상황을 봐가며 토론을 종합하고 정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스프린트 진행 과정

스프린트는 5일에 거쳐서 진행된다.

월요일

문제를 인식하고 목표를 설정합니다. 전문가들을 모셔서 의견을 들어보기도 합니다.

화요일

각자 아이디어를 쏟아내고 설명하는 시간입니다. 스케치와 설명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합니다.

수요일

어떤 솔루션으로 갈지 투표로 결정하고 스토리보드를 만듭니다.

목요일

정해진 스토리보드에 따라 제품이나 아이디어의 프로토타입을 만듭니다.

금요일

이 프로토타입을 잠재 고객에게 보여주면서 피드백을 받습니다. 그리고 프로토타입에 대한 고객 반응에 따라 프로젝트 최종 방향을 결정합니다.

요일 – 전체적인 지도 그리기(Map)

목표 및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정리

스프린트 핵심 목표에 대한 해결 프로세스(지도) 그리기

목표와 관련된 다양한 질문 던지기

지도에서 타깃 선택하기 (어디에 초첨을 맞출 것인가에 따라 선택)

화요일 – 솔루션 스케치하기

솔루션 핵심 내용 스케치

사례 탐색

수요일 – 가장 좋은 솔루션 결정하기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할 솔루션 결정

스토리보드 (어떻게 작동되는지) 작성하기

목요일 – 진짜 같은 프로토타입 제작

적절한 도구 선택

역할 분담

서로 연결

시범 운영

금요일 – 솔루션 검증 단계

프로토타입에 대한 설명

사용자 피드백 받기


Uploaded by N2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