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wift concurrency
- 컴퓨터그래픽스
- uikit
- 운영체제
- 영남대
- 웹
- 스위프트
- 멋사
- cs
- 문법
- 후기
- ReactorKit
- composable architecture
- Protocol
- 위젯킷
- dispatchqueue
- 알고리즘
- spritekit
- c++
- widgetkit
- 대외활동
- 네트워크
- Swift
- SwiftUI
- 백준
- widget
- 리액트
- TCA
- 멋쟁이사자처럼
- 스유
- Today
- Total
목록앱 (115)
맛동산이

weak strong unowned는 메모리를 참조하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다. 해당 이야기를 이해하기 이전에 ARC(autometic reference counting) 에 대해서 알아야한다. 컴파일과 런타임에 대해서 컴파일은 코드가 어셈블리 언어로 해석되는 것을 의미한다. 런타임으 해당 어셈블리 언어가 메모리에 올라가서 실제로 작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ARC(autometic reference counting) arc는 이전에 objective-c에서 MRC라는 수동적으로 reference counting 을 해주었던것을 자동으로 해주는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그렇다면 reference counting이 왜 필요하고 왜 어떻게 작동하는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참조 횟수 계산 방식 (refe..

Notification Center 처음에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때, 콜렉션뷰에서 cell 내부의 버튼을 통해서 현재 cell의 이미지를 홈뷰 이미지뷰에 넣어주기 위해서 cell 내부에는 클로저를, item controller에는 delegate를 사용해서 homeView에 이벤트를 넘겨주었는데 작동하지 않았다. Notificatin Center 우선 Notification Center은 클래스이다. 그리고 이 Notification Center의 인스턴스는 enables the broadcast of information to registered observers,라는 역할을 하는데, 번역하자면 등록된 옵저버들에게 정보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는 뜻이다. 노티피케이션 센터는 옵저버 패턴이다. 옵저버란, 스..
swift를 공부하다보면 try? 라는 구문을 상당히 많이 접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겨서 찾아보게 되었다. do catch 먼저 스위프트에서는 에러처리를 do,try catch구문을 통해서 잡게 된다. do{ y = try something() } catch{} 이러한 방식으로 do 의 구문을 돌리고 에러가 발생하면 catch구문으로 넘어가게 된다. try? 이때 catch구문을 사용하지 않고, 리턴값을 에러가 발생할때 nil을 받기위한 간단한 구문이 바로 try?이다. 이때 리턴값은 optional 이기 때문에 언래핑을 해야 값을 확인할수 있게 된다. try! try!또한, catch구문을 사용하지 않고, do catch문대신 사용하는 예외처리 방법이다. 해당 try!는 nil값이 반환되..

Hashable이란? 먼저 최초의 질문은 Hashable이라는 프로토콜이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한다. Hashable이란, hasher로 인하여 int값인 hash value를 가져서 hashing 될수있는 타입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Hasher는? Hasher는 구조체 이며, hash 함수이며, 주로 셋과 딕셔너리 타입에서 사용한다. 해당 메소드를 보면 다음과 같은데 .combine(H) : 주어진 값을 해셔에 추가해서 해셔에 혼합한다. .finalize() → Int : 해시를 완료하고 해시 값을 반환한다. 해시(Hash) 쉽게 말해서 딕셔너리 같은 타입이 해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Key와 Value값의 1대1 매핑을 해주게 되는 자료형이다. 그런데 이때 이 value값을 해시테이블이라..

리엑트에서는 항상 Text는 로 쌓여있어야 한다. 버튼은 항상 셀프로 닫게 되어 있으며, 리엑트와 다르게 Title 을 사용해서 이름을 붙이게 된다. 아무 style도 주지않으면, 자동적으로 기본 스타일이 되어서 만들어지고, 이후 이벤트 리스너를 통해서 입력을 준다.Core component리엑트 네이티브에서는 ios와 안드로이드와 매칭되는 코어컴포넌트들이 몇개 존재하며 위와 같이 존재한다. css리엑트 네이티브에서는 css가 존재하지 않는다.대신 자바스크립트를 통해서 스타일을 줄수 잇는데, 방법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인라인 자바스크립트 를 통한 스타일스타일시트 객체를 사용하는 방식 인라인 자바스크립트인라인 자바스크립트란, 태그명에 style={{}} 스타일 객체를 주는방법을 의미한다.또한 리엑트 네이티..

expo에서는 expo go 라는 앱을 제공하고 있고, 이를 통해서 핸드폰에서 내가 만든 앱을 확인하면서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해당 앱은 구글 마켓이나,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핸드폰과 내 코드를 연동하기 위해서 일단은 vscode 터미널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자!npm start 띠용? 작성을 하고 나면 이렇게 qr코드가 생기고, 확인을 하게 되면 이렇게 expo go 에서 앱열기가 가능하며 해당앱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내가 개발하는 화면이 나오게 된다!!! 중요한 점은 컴퓨터와, 핸드폰이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해야 한다는점이다.만일 그렇지 않으면 오류가 나니까 그런경우에는 동일한 인터넷선을 사용하면 된다. 연결완료! Uploaded by N2T

What is React Native?리엑트 네이티브는 페이스북에서 만든 크로스플랫폼 앱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크로스 플렛폼이란, ios android두개다 개발이 가능하다는 뜻으로, 자바스크립트를 통해서 두개의 네이티브앱을 개발할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리엑트랑 상당히 유사해 기존의 웹 개발자들은 상당히 배우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성능자체가 네이티브앱에 상당히 뒤쳐지기 때문에 최근에 쓰이지 않는 추세입니다. 그렇지만? 저는 프로젝트를 해야하고,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웹 개발도 하고있는점을 더불어, 공부하는 겸 프로젝트를 해야하는데 xcode를 이용한 ios 개발은 맥북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ios개발을 하고 싶은 저의 경우에는 팀원들과 함께 하기 위해서 해당 프레임워크..